화내는 아이 진정시키는 방법 (실전편) #화내는아이대처법

우리 아이가 아직 2살이었을 때 미운 두살 떼쓰는 아이 대처법에 대해 블로그를 쓴 적이 있다.

일년 이상이 지나 이제 3살인 우리 아이는 어떻게 변했을까? 하고 이전의 글을 다시 읽어 보았다.

미운 두살 떼쓰는 아이 대처법 꿀팁 – 무조건 억누르면 아이 자존감 떨어진다 #미운두살 #미운세살 #자존감 #떼쓰는아이

그 때에 비교하면 말도 훨씬 잘 하기에 자기 감정을 어느 정도는 말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은 감정 표현이 서툴기 때문에 화를 내는 경우가 많다.

떼 써도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일찍부터 깨달은 우리 아들은 2살 때와 비교해서 떼쓰는 일은 많이 없지만 화가나면 폭발한다.

매일 매일 반복하다보니 화를 내는 아이를 상대하는 노하우가 생겼고, 나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유해 볼까 한다.

물론 아이가 아직도 욱! 하고 화를 내는 경우가 자주 있지만 아이가 스스로 진정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많이 짧아져서 이젠 아이가 화를 내기 시작해도 아주 여유로운 마음으로 대처할 수 있게되었다. ^^

모든 아이들이 같을 수는 없지만 많은 육아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조언을 바탕으로 하는 대처법이기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본다.

 

첫째: 자기 뜻대로 안되는 아이, 일단 화부터 내고 본다

만 3살인 우리 아들의 경우에는 무엇인가가 자기 뜻대로 안 될 때, 상대방이 자기 말을 못 알아듣거나 자기 감정을 몰라줄 때, 특히나 더 폭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화내는 아이를 상대하는 일이 반복 되다보니 이젠 어느 상황에서 스위치가 눌러지는지 어느 정도는 예상이 되기에 그런 상황이 오면 나는 긴장하기 시작한다.

아…. 또 시작이구나…

처음에는 정말 죽을 맛이었다.

어찌나 악을 쓰면서 우는지 누가 들으면 아이 학대한다고 할까봐 걱정이 될 때도 있었다.

심지어 학대 의심으로 신고를 당한적도 있어서 (오해였지만) 아이가 집 밖에서 들릴 정도로 울기 시작하면 괜히 안절부절이 되고 극도로 예민해졌었다.  >> 황당했던 아동학대 사건의 블로그: 아동학대로 신고를 당했습니다 #아동학대

아이가 정말 미친놈처럼 소리 소리를 지르면서 울 때는 당장 아이 울음을 그치게 하고 싶어서 달래도 보고 같이 언성을 높여 보기도 했지만 상황은 더 나빠질 뿐이었다.

그러다보면 나도 화가 치밀어서 폭발하기 0.05초 직전까지 몰리곤 했다.

어린이집에서는 안 그런다고 하는 거 보니 엄마나 아빠가 편한 건 분명하다.

우리 아들은 화가 나면 일단 악을 쓰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자기 분에 못 이겨서 울고 불고 한다. (다들 이런 아이 하나쯤은 집에 있겠쥬…?)

모든 아이들이 이런 건 아니지만 우리 아들은 특히나 더 이런 모습을 보여서 솔직히 성격 장애가 있나 걱정이 된 적도 있다. ^^;;

우리 부부가 즐겨보는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에 우리 아들도 나가야하는 거 아냐? 라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남편과 종종 이야기할 정도였다.

그 때를 떠올리면 지금도 손에서 땀이 날 것 같다….

 

둘째: 아이가 왜 화가 났을까?를 아이의 입장해서 생각해 본다

왜 화가 났을까를 들여다보면 정말 화가 나겠구나… 라는 상황도 많이 있지만 그냥 컨디션이 안 좋아서, 졸려서 등의 이유로 이유없이 짜증을 내는 경우도 있다.

화가 날만한 이유가 있다면 아이가 화가 머리끝까지 나서 아직 진정이 안 된 상황에서도 아주 짧게 일단 공감해준다. (공감! 공감! 공감! 육아에 관해서 수천 번, 수만 번을 들은 단어일 것이다.ㅋㅋㅋ)

“○○가 이걸 만들고 싶은데 뚜껑이 안 열려서 속상했구나~”

“○○가 슈퍼에 가고 싶었는데 오늘 못 가서 속상했구나~”

라고 구체적으로 상황을 설명하고 아이의 감정을 말로 표현해준다.

(나의 진심은 “뚜껑 좀 안 열렸다고 그렇게 성질을 내냐!?! 으이구….” 일 때도 있지만……..)

아이가 화가 난 이유를 잘 모르겠는 상황일 때는 괜히 얼렁뚱땅 짐작해서 말하는 것은 금물이다.

불난 집에 부채질 하는 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유가 예상이 안되면 일단 그냥 두는게 좋다.

나중에 진정되면 아이 스스로 화가 난 이유를 말해줄 것이기 때문이다.

주체할 수 없이 화가 난 아이에게 왜 화가 난거야? 라고 물어봤자 돌아오는 대답은 한층 더 심해진 ‘화’일 뿐이다.

끓는 냄비처럼 부글거리는 아이를 상대하는 것은 일단 멈추고 아이가 왜 저렇게 화가 났을까 분석에 들어가 본다.

진정이 된 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아이가 화가 난 이유를 알아야하기 때문이다.

 

셋째: 아이 스스로 진정될 때까지 기다린다

오은영 박사님은 화난 아이를 대할 때 아이의 화가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주라고 조언하신다.

그 자리를 떠나서 아이가 울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고 무시하라는 뜻이 아니라 조용히 아이 곁을 지키면서 아이 스스로 진정되는 것을 바라봐 주라는 말씀이다.

그래서 나도 오은영 박사님의 조언처럼 아이랑 조금 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고 “나는 ○○가 진정이 될 때까지, 그래서 말로 대화를 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릴거야.” 라는 일관된 태도로 기다린다.

이 때 엄마의 눈은 아이를 보고 있지만 머리속으로는 딴 생각을 하는게 정신 건강에 좋다.

앞에서 울고 불고 생 난리를 치고 있는 아이에게 집중하다보면 나의 화 게이지도 같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아이들은 감정을 스스로 추스리는 방법도 배워야하기 때문이다.

아이가 자기 감정을 스스로 들여다보기도 전에 엄마가 안아서 달래주고 비위를 맞춰 준다면 감정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아이에게서 빼앗는 것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

처음에는 아이 스스로 진정이 되기까지 조금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기에 우는 아이가 불쌍하고 안쓰러워서 바로 안아주고 싶어질지도 모르지만 한 번 꾹 참아보자.

늘 그렇지만 아이들은 내 생각을 뛰어넘어서 잘 해낸다.

그런 모습을 볼 때마다 내가 아이들을 너무 무시했구나…. 라고 반성하게 된다.

내가 믿고 기다려주는 사이에 우리 아들도 어느새 자기 스스로 진정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있었다.

 

넷째: 스스로 진정이 된 후는 훈육하기 좋은 타이밍

우리 아들도 아직은 하루에도 몇 번이나 욱! 할 때가 있지만 위의 대처법을 반복하다보니 이제 화 버튼이 눌려진 순간부터 진정이 되서 다시 웃기까지의 시간이 상당히 짧아졌다.

아이가 다시 기분이 좋아졌다면 아이에게 방금 전 상황에 대해서 대화를 시도해 본다.

“방금 왜 그렇게 화가 났던 거야?”

아까는 내 말 따위는 귀에도 들어오지 않았던 아이가 스스로 이유를 설명해준다.

그 이유가 말도 안될 때도 있지만, “아 그랬구나. 그래서 화가 난 거구나.” 라고 일단 공감해 준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훈육에 들어가야한다.

오은영 박사님이 늘 말씀하시지만 훈육은 말로 가르치는 행위이다.

아이가 떼쓰고 화낼때 혼내는 것은 훈육이 아니다.

아이들은 금방 까 먹기 때문에 바로 바로 알려줘야하는데 아이가 진정된 시점이 아이에게 훈육을 할 가장 좋은 타이밍이다.

아이가 진정이 된 후에 훈육을 해야하는 또 다른 이유는 아이가 화가 MAX일 때는 아이도 내가 하는 이야기가 안 들리겠지만 내 입에서도 좋은 말이 나올리가 없기 때문이다.

“화가 난다고 그렇게 소리 지르고 울지 않아도 돼. 엄마 지금 화가 났어요 라고 말로 해주면 더 좋을 거 같아. ○○가 화나서 소리 지르고 엄마 때리고 그러면 엄마도 기분이 많이 안 좋아. 다음부터는 말로 설명해 줄 수 있겠어?” 

이미 기분이 좋아진 아이는 천사같은 표정으로 “네 엄마. 이제는 소리 안 지를게요.” 라고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남발하고 나는 또 속는 셈 치고 믿어준다.ㅋㅋㅋㅋ

가끔은 자기 전에 침대에 누워서 한 번씩 그날의 상황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도 있다.

“오늘 하루 중에 뭐가 제일 속상했어?” 라고 물으면 아이는 아까 화가 나서 울었던 상황을 기억해내고 이야기한다.

분명 아이에게도 힘든 상황이었던 것이다.

그러면 또 한번 화가 났을 때 어떻게 하는게 더 좋은 방법인지에 대해 아이에게 짧게 알려준다. 2절, 3절 주저리 주저리 잔소리는 금물!

아이는 또 천사가 되어서 “네 알아쩌요 엄마.” 한다.ㅋㅋㅋㅋㅋ

 

마치며: 일관성을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써보려한다.

이전의 블로그 내용에도 썼지만 아이가 커가면서 점점 더 중요성을 느끼는 것이 바로 일관성이다.

아이가 무언가를 원한다, 그래서 떼를 쓰기 시작한다 싶으면 일단 내가 아이의 요구를 들어줄 것인가 아닌가를 빨리 판단한다.

들어준다고 결정했다면 아이가 기분이 좋을 때 들어주고, 안 들어준다고 결정했다면 아이가 어떤 진상으로 부려도 끝까지 그 결정을 지켜내야한다.

아이가 운다고, 떼를 쓴다고, 화를 낸다고 중간에 포기하고 들어주는게 최악의 방법이다.

단 한 번이라도 아이가 떼를 써서 원하는 것을 얻어내고 나면 후폭풍이 반드시 오는 것을 몇 번을 경험하고나서부터는 나는 안 된다고 결정한 것은 돌부처처럼 지킨다.

못하게 한다고 해서 아이에게 화를 낼 필요는 없다.

안 되는 것은 안 되는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기만 하면 된다.

말이 쉽지 처음에는 괴로울 것이다.

그냥 들어주고 아이의 진상을 지금 이 순간에 멈추게 하고 싶은 충동을 끝까지 꾹 참아야한다.

그렇게 여러번을 참다보면 아이도 이제 슬슬 안다.

이 엄마는 내가 무슨 수를 써도 한 번 안되는 것은 안되는구나….

그럼 엄마가 안 된다고 했을 때 아이가 받아들이기가 한결 쉬워진다.

어느 때는 되는데 어느 때는 안 되는게 아이 입장에서 보면 최악이다.

아이를 위해서도 엄마가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그렇게 지키다보면 생떼부리는 아이에게로부터 조금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기억하자. 아이는 엄마가 자기를 어디까지 허락하는지 수시로 경계선을 시험하려든다.

몇 번만 (사실은 수십 번 수백 번이 될 수도 있지만…) 하면 편안해질 그 날을 상상하며 나의 결정을 믿고 아이에게 꺽이지 말아볼 것을 권한다.

하지만 안 되는 것이 너무 많아서도 안 된다.

그래야 나의 “안 돼”가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마치며: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임을 인정한다

내일 아이는 또 화나는 일이 생기겠지? (아니 오늘 어린이집에서 돌아오면 당장…)

하루에도 몇번씩 첫째부터 넷째까지를 반복하는 일상이 그리 쉽게 없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아니 오히려 아이가 화를 내는 일이 없어진다면 걱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화’라는 감정 자체는 인간에게 필요한 감정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세상에는 ‘화’를 제대로 다룰 줄 모르는 어른들이 너무 많다.

우리 아이들이 ‘화’라는 감정을 잘 다룰 수 있도록 도와줘야한다. (육아를 하다보면 ‘화’는 나의 과제이기도 하지만….)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을 배우고, 엄마도 감정적으로 행동하지 않고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는 연습을 반복한다면 아이의 “화” 스위치가 켜지더라도 긴장하지 않는 여유가 생길 것이라고 믿는다.

 

이제 이 상황이 좀 적응이 되면 앞으로는 또 어떤 시련이 닥쳐올까? ㅋㅋㅋㅋㅋㅋㅋㅋ

괜찮아 엄마는 또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할테니까.

너는 자연스럽게 커주렴.

 

댓글 남기기